모바일 메뉴 열기
카카오 로그인 회원가입

Q&A

궁금한 점이나 문의사항이 있다면 언제든 문의해 주세요!

네이버 블로그
인스타그램
Youtube
이메일
info@meditrans.co.kr

난감한 다국어 DTP: 매뉴얼 현지화의 복병을 넘는 법

📋 요약

해외 진출을 준비하며 제품 매뉴얼, 기술 자료, 교육 콘텐츠 등의 다국어 현지화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단순한 번역을 넘어서는 예상 밖의 기술적 장벽을 마주하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미얀마어 Zawgyi와 같은 다국어 문자 체계는 퍼블리싱 단계에서 빈번하게 문제를 일으키며, 프로젝트 일정과 품질 모두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복병입니다.

난감한 다국어 DTP: 매뉴얼 현지화의 복병을 넘는 법



해외 진출을 준비하며 제품 매뉴얼, 기술 자료,

교육 콘텐츠 등의 다국어 현지화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단순한 번역을 넘어서는

예상 밖의 기술적 장벽을 마주하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미얀마어 Zawgyi와 같은 다국어 문자 체계는

퍼블리싱 단계에서 빈번하게 문제를 일으키며,

프로젝트 일정과 품질 모두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복병입니다.




수출 문서의 현지화, 왜 이렇게 복잡할까?


img 1760930748 68f5abbc347cf

글로벌 기업이 해외 고객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해서는 현지 언어로 된

다양한 문서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매뉴얼

설치 가이드

마케팅 브로슈어

기술 사양서

법률 및 계약 문서

이러한 콘텐츠는 단순히 번역된 텍스트가 아니라,

실제 사용 환경에 맞는 시각적 배치와 호환성까지

고려한 DTP(Desktop Publishing) 작업을

거쳐야 완성됩니다.

하지만, 모든 언어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미얀마처럼 비표준 문자 체계(Zawgyi)를

오랫동안 사용해온 국가에서는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문제의 핵심: 유니코드와 Zawgyi의 충돌

미얀마어는 다음 두 가지 문자 체계를 사용합니다.

Unicode: 국제 표준 문자 체계

Zawgyi: 미얀마 내 비공식 문자 체계 (비표준)

Zawgyi는 과거 미얀마 대부분의 웹사이트와

문서에서 널리 사용됐지만,

유니코드와 호환되지 않으며,

코드 포인트가 중복되어 있어

디지털 퍼블리싱에 심각한 혼란을 초래합니다.



실무에서 마주치는 Zawgyi 문제 사례


호환성 이슈

Zawgyi는 유니코드와 전혀 다른

문자 코드 체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웹사이트, 앱, PDF 출력, 검색엔진 인덱싱 등

다양한 환경에서 글자 깨짐, 누락,

출력 오류가 발생합니다.

폰트 렌더링 충돌

같은 단어를 Unicode 폰트와

Zawgyi 폰트로 각각 출력할 경우

완전히 다른 문자 형태로 보이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변환의 어려움

기존에 Zawgyi로 작성된 콘텐츠를

유니코드로 변환하려면

전용 변환 도구가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도 문자 조합 누락이나

의미 왜곡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퍼블리셔를 위한 실전 대응 전략


img 1760930793 68f5abe9233f1

1. 문자 체계 식별부터 시작

가장 먼저, 문서에 사용된 미얀마어가

Zawgyi 기반인지, 유니코드 기반인지 식별해야 합니다.

문서 내 일부만 Zawgyi로 작성된 경우도 많아,

전체 검토가 필요합니다.

2. 폰트는 반드시 표준 기반으로

가능하면 Unicode 기반 폰트를 사용하고,

사용 가능한 대표 폰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Unicode 폰트: Myanmar3, Pyidaungsu, Padauk

Zawgyi 폰트: Zawgyi-One

( 비표준, 사용 시 출력 오류 주의)

3. 출력 환경별 호환성 테스트

특히 PDF, 웹, 모바일 앱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Zawgyi가 정상 출력되는지 사전 검증이 필수입니다.

이전 단계에서는 문제없던 텍스트가,

특정 뷰어나 브라우저에서 깨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자동화 도구 및 검수 프로세스 도입

Zawgyi와 유니코드 혼용을 방지하려면

스크립트 기반 문서 검수 도구나

표준 입력 시스템(IME) 사용 가이드를 마련해

작업자의 입력 방식부터 통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지화 프로젝트에서의 교훈


img 1760930820 68f5ac04ebc99

Zawgyi는 단순한 폰트 문제가 아니라,

국제 표준과 로컬 환경의 충돌에서 비롯된 구조적 문제입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접근이 필요합니다

언어와 문자 체계의 기술적 배경에 대한 이해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부터의 퍼블리싱 환경 설계

DTP 단계에서의 기기별/포맷별 출력 테스트

변환 및 입력 오류를 줄이기 위한 검수 및 품질관리 체계 구축




전문 파트너와 함께라면 복잡한 문자 체계도 문제 없습니다


img 1760930834 68f5ac123eb75

Zawgyi 문자 체계 문제처럼, 현지화 프로젝트에는

언어 장벽을 넘어선 기술적 과제가 뒤따르기 마련입니다.

특히 의료·기술 콘텐츠처럼 정확성과 규제 준수가

중요한 분야일수록,

단순 번역만으로는 완성도 높은

콘텐츠 제작이 어렵습니다.

메디트랜스는 번역뿐만 아니라 퍼블리싱 환경까지 고려하는 다국어 현지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미얀마어 Zawgyi ↔ Unicode 대응 경험

  • 의료기기 매뉴얼, 임상 문서, 교육 콘텐츠 등 다양한 포맷 대응

  • 언어 전문가 + DTP 전문가 + QA 리뷰어 협업 구조

  • 다국어 DTP와 기기별 호환성 검수까지 포함한 통합 서비스




미얀마어 현지화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번역이 끝났다고 안심해서는 안 됩니다.

Zawgyi 문자 체계의 존재를 인식하고,

실제 출력 환경에서의 문제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점검하고 대응하는 것이

고품질 다국어 콘텐츠 제공의 핵심입니다.

메디트랜스는 단순 번역을 넘어,

기술적인 퍼블리싱 환경까지 함께 고려하는

의료·기술 콘텐츠 전문 현지화 파트너입니다.

더 많은 실무 정보가 필요하다면,

메디트랜스에 문의해 주세요 : )



#메디트랜스 #Zawgyi문제 #미얀마DTP #다국어퍼블리싱 #현지화전략 #DTP실무 #폰트호환성 #Zawgyi대응 #Unicode전환 #의료문서현지화 #사용설명서번역 #전자라벨링 #임상시험계획서 #분산형임상시험